예방수의학 접근방법 및 주요 연구 영역
접근방법 및 주요 연구 영역 1) 수의전염병학 수의전염병학(獸醫傳染病學, veterinary medicine epidemiology)은 국내외 동물에서 발생하는 전염성 질병들 중 임상학적, 경제학적, 사회학적 및 국제적으로 중요시되는 질병들에 대하여 원인체의 특성, 역학적 특성, 임상증상 및 병리학적 변화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진단 및 예방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질병의 동물 간 및 사람으로의 전파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고자 한다. 본 과목은 미생물학(微生物學, microbiology), 면역학(免疫學, immunology), 병리학(病理學, pathology), 생화학(生化學, biochemistry), 분자생물학(分子生物學, molecular biology) 등을 근간으로 하는 종합학문이다. 수의전염병학에..
2024. 2. 20.
수의학 역사와 발전과정
역사와 발전과정 1) 고대 코스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 BC 460~337)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코스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는 질병과 환경을 연결시켜 과학적인 근거로 질병의 발생을 설명하고자 노력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의 저서 Epidemic I, II, 그리고 On Airs, Waters, And Places에서 질병과 환경의 관련성, 질병 발생의 집단적 관찰, 기록, 그리고 토착병과 유행병을 구분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들은 오늘날 역학적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배수 및 관개를 위한 수로매장제도와 수육에 대한 검사가 있었으며, 가옥청결법과 신체섭생법 등이 실시되었다. 고대 인도에서는 음식, 의복, 운동, 신체청결 등..
2024.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