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의학 역사와 발전과정

by 경제 블로그 쁘니 2024. 2. 20.
728x90
반응형
반응형

역사와 발전과정

1) 고대

코스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 BC 460~337)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코스의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of Cos)는 질병과 환경을 연결시켜 과학적인 근거로 질병의 발생을 설명하고자 노력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의 저서 Epidemic I, II, 그리고 On Airs, Waters, And Places에서 질병과 환경의 관련성, 질병 발생의 집단적 관찰, 기록, 그리고 토착병과 유행병을 구분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들은 오늘날 역학적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배수 및 관개를 위한 수로매장제도와 수육에 대한 검사가 있었으며, 가옥청결법과 신체섭생법 등이 실시되었다. 고대 인도에서는 음식, 의복, 운동, 신체청결 등에 관한 규정이 있었다. 이는 규칙적이고 위생적 생활이 전염병에 대한 최선의 예방법임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상·하수도가 건설되었고 목욕장이 설비되었으며, 시내에서는 사체의 매장이나 소각이 금지되었다.

2) 중세

중세 유럽사회는 기독교적 세계관이 지배하는 사회였으며, 공중보건활동은 교회활동의 일부분으로 취급되었다. 질병과 죄는 본질적으로 관계가 깊다고 보았으며, 질병은 자신의 죄에 대한 벌이나 악마가 마법을 걸었을 때에도 생긴다고 보았다. 따라서 질병의 치료는 신에게 기도하고 참회하여 구원을 받는 것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시기의 특징은 도시의 형성에 따른 인구의 과밀현상이다. 이는 비위생을 초래하였고, 공중보건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중세 도시의 중요한 공중보건문제는 양질의 음용수 공급, 급수오염 방지, 청소와 쓰레기처리, 가축으로 인한 오물처리 등이었다.

이탈리아에서는 공중위생을 위한 규정들이 만들어졌다. 사람이나 짐승의 사체 부패에 따르는 공기 전염을 피하게 하고, 불결물 제거법, 급수법, 식품위생법, 시가지청결법, 건축위생법 등의 제정 등이 이루어졌다.

3) 산업혁명기

1866년 독일의 뮌헨 대학가에서 최초로 막스 요제프 폰 페텐코퍼(Max Josef von Pettenkofer)에 의해서 위생학교실이 창설되었고 이어서 라이프치히, 튀빙겐, 베를린 드엥서도 위생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19세기 말엽에는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가 질병이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예방의학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위생개혁운동과 세균학의 발달에 힘입어 세계 각국의 사망률은 20세기 초에 이르자 두드러지게 떨어졌다. 예방의학 분야에서는 영양학의 중시, 산업보건발달, 예방접종, 백신개발 등이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876년 강화도조약이후 조선 정부와 재조/재야 지식인들은 근대서양의학과 보건위생술에 관심을 보였다. 그리하여 근대서양식 병원을 세우고 그곳에서 일할 의사들을 양성할 것과 서양식 보건의료 및 공중위생제도를 시행할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져가는 가운데 우두법이 국가사업으로 채택되었다. 또 검역, 상하수 관리, 도로개수 등 근대 서양식 공중보건과 위생법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막스 요제프 폰 페텐코퍼(Max Josef von Pettenkofer, 1818~1901)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1895)

4) 근대

대부분의 동아시아 식민지 국가들이 그러하였듯이 우리나라 역시 자주적 근대국가로의 탈바꿈할 기회를 상실당했다. 이와 함께 전통적인 보건의료체계의 계승을 통한 근대국가에 걸맞은 보건의료체계를 갖추지 못한 채 왜곡된 식민지 보건의료체계를 이식당해야만 하였다. 1910년 9월, 조선총독부가 생기고 칙령 354호에 의하여 동무경무국에서 위생과를 두어 위생사무 전반을 관장하게 함으로써 위생행정은 경찰행정으로 일원화되었고 실질적인 식민지 보건정책이 실시되었다.

5) 8.15 해방~과도정부시대

조선총독부시대의 보건행정은 식민지정책 수행상 편의적인 시정에 불과하였던 것이었으며, 8.5 해방과 더불어 남한에서는 급격하게 공중보건사상이 도입되고 각 방면에 걸쳐서 반영되었다. 즉, 미군의 진주에 이어 1845년 9월 24일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정부법령 제1호로 위생국이 설치되고 경무국위생과는 폐지되었다. 이후 1975년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가 창립되어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

728x90
반응형